티스토리 뷰
잘못된 선을 넘어선 자, 영점을 재조정하다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저, ‘죄와 벌‘을 다시 읽고
5년 만에 ‘죄와 벌‘을 다시 읽으니 내 시선은 줄거리보다 등장인물에 더 오래 머문다. 게다가 지난 10개월간 독서모임과 함께 ‘가난한 사람들’부터 출간순으로 한 달에 한 작품씩 읽어오며 도스토옙스키의 발전과정을 함께 해서 그런지, 등장인물이 더욱 친근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느껴졌다. 이 글에서 나는 주인공 라스꼴리니꼬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면서 나 자신은 물론 인간을 보길 원한다. 작품을 읽지 않은 분들은 이 글이 아니라 나의 초독 감상문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은 작품을 읽고 줄거리를 충분히 파악하고 작품에 흐르는 철학과 사상을 느껴본 분들을 위한 것이다.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등장인물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 세 가지는 모두 라스꼴리니꼬프의 속성이기도 한데, 경우에 따라 다른 주변 인물들과 비교와 대조를 할 것이다.
선을 넘어선 자
소냐의 집을 찾아간 날 라스꼴리니꼬프는 소냐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당신 역시 똑같은 일을 했잖아? 당신 역시 선을 넘어선 거야. 넘어설 수 있었던 거지. 당신은 자기 몸에 손을 댔고, 스스로를 죽여 버렸어. 자기 생명을 말이야. 우리는 같은 길을 가야 해. 그러니 함께 갑시다!”
라스꼴리니꼬프는 소냐로부터 자기 자신의 모습을 본 것이다. 그 동질성은 곧 ‘선을 넘어섰다는 것’. 작품의 맥락을 볼 때 이는 ‘살인’을 뜻한다. 그러나 살인도 살인 나름이다. 라스꼴리니꼬프의 살인이 타자를 물리적으로 죽인 것이라면, 소냐의 살인은 자신을 정신적으로 죽인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돌이킬 수 없는 큰 범죄를 저지른 뒤 살아 있는 양심 때문에 정신적으로 쫓기는 살인자의 성급함일까? 그의 논리에선 비약이 감행된 객관성 상실이 확연해 보인다.
라스꼴리니꼬프의 분석처럼 소냐에게는 치욕적이고 저급하고 세속적인 모습과 그와는 정반대라고 할 수 있는 고결하고 성스러운 모습이 공존한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매춘부의 길을 선택한 소냐. 어쩌면 그녀의 존재 자체가 모순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녀의 ‘자기 죽임’을 살인이라 할 수 있을까? 그녀에게서 모든 인간을 위해 죽음을 택하고 죽임을 당해야만 했던 예수의 모습이 떠오르는 건 왜일까? 타자를 위한 자발적인 희생을 감히 살인이라 부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의 제사로 쓰인 요한복음 12장 24절 말씀을 상기시키기도 한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
밀알 하나의 죽음은 모두를 위한 거룩한 희생이다. 소냐는 한 알의 밀알로서 가족을 먹여 살렸고, 나중엔 그녀를 잠시 오해하고 비난했던 라스꼴리니꼬프마저도 살려내는 역할을 감당한다. 소냐의 ‘자기 죽임’은 실로 많은 열매를 맺게 된다.
반면, 라스꼴리니꼬프의 노파 살인은 자기 자신은 물론 주위의 모든 사람을 죽이는 열매를 맺는다. 그는 사람이 아니라 이를 죽였을 뿐이라고 주장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해석이자 살인자의 자기 합리화일 뿐이다.
결과적으로 라스꼴리니꼬프의 분석은 반만 옳았다. 둘 다 ‘선을 넘어선 자’였지만, 소냐는 타자를 위해, 라스꼴리니꼬프는 자기 자신을 위해 선을 넘어섰던 것이다. 소냐는 사람을 살리는 선의 열매를, 라스꼴리니꼬프는 사람을 죽이는 악의 열매를 맺었던 것이다. 각자 다른 선을 넘어섰던 것이다.
참고로, 끝내 자살을 택한 스비드리가일로프의 ‘자기 죽임’은 소냐의 그것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이 차이 역시 자기를 위한 것인지 타자를 위한 것인지에 있을 것이다. 자기를 위한 살인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스비드리가일로프의 자살은 라스꼴리니꼬프의 타살과 본질적으로는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겠다.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는 자, 곧 신의 존재를 인정하는 자
그렇다면 무엇이 이러한 차이를 만든 것일까? 라스꼴리니꼬프는 다음과 같이 자기가 소냐와 다름을 인정하게 된다.
“아아, 우리는 서로 다른 부류의 인간이야! 나는 마음이 악해. 그러니 짝이 아냐! 나는 왜 여기 온 걸까!”
놀랍게도 라스꼴리니꼬프는 소냐가 모순된 양면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자기처럼 폭주하지 않을 수 있었던 이유에서 소냐와의 근원적인 차이를 깨닫게 된다. 그것은 바로 이 한 문장이다.
“하느님이 안 계시면 내가 어떻게 살아갈 수가 있겠어요?”
소냐는 라스꼴리니꼬프가 이 같은 전당포 노파를 죽인 후 계획에도 없던 추가적인 살인의 희생자, 리자베따와 같은 유로지비였다. 유로지비는 존재 자체가 어쩌면 모순이라 할 수 있다. 세속적인 관점에서는 바보 혹은 백치이지만 성자처럼 고결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 유로지비이기 때문이다.
라스꼴리니꼬프와 달리 소냐는 하느님의 존재를 인정하는 사람이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소냐는 인간의 숙명적이고 존재론적인 한계를 인정하고 그것이 세계관이 된 사람이었던 것이다. 라스꼴리니꼬프는 자신도 나폴레옹과 같은 사람처럼 ‘모든 것이 허용되는’ 사람이라 믿었고 그것을 테스트해보고 싶었다. 허술하기 짝이 없는 산술적인 공리주의 따위에 생을 걸었던 한낱 인간일 뿐이었다. 그는 인간을 두 부류로 나누고 자신이 어느 쪽에 속하는지에 관심이 있었을 뿐 인간 존재를 거뜬히 뛰어넘는 하느님의 존재는 안중에도 없었다. 그래서 소냐는 라스꼴리니꼬프에게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었다.
“당신은 왜 해서는 안 될 질문을 하시는 거예요? 어떻게 그런 일이 내 결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지요? 누구는 살아야 하고, 누구는 죽어야 한다고 심판할 권리를 누가 내게 주었나요?”
라스꼴리니꼬프와 소냐는 공히 선을 넘어선 자였지만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존재론적인 차이를 인정하는지에 따라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다.
또한 소냐는 스스로를 죄인으로 알고 있었다. 라스꼴리니꼬프가 스스로가 어떤 위치에 놓인 인간인지 테스트해보려 했던 자세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나는... 더러운 여자예요. 나는 큰, 크나큰 죄인이에요! 아,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이는 인간을 어떻게 분류하는지를 따지는 어리석은 땅의 질문에서 벗어나 눈을 들어 하늘을 바라보며 유한한 인간, 죄인인 인간의 한계를 겸손하게 인정하라는 메시지가 아닐까 한다. 도스토옙스키의 기독교 세계관을 단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일 것이다.
우연에 이끌리는 자
재독 하면서 한 가지 더 눈에 들어온 것은 우연의 힘이었다. 라스꼴리니꼬프의 살인 도구가 될, 미리 점찍어 둔 도끼 대신 우연찮게 손쉽게 구할 수 있었던 도끼를 비롯하여 그의 살인 시도는 수차례 좌절될 수 있었으나 그때마다 기적처럼 예상치 못한 길이 열려 결국 살인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나는 라스꼴리니꼬프를 우연에 이끌리는 자라고 보았다. 살다 보면 우린 모두 이와 비슷한 순간들을 겪는다. 하늘이 돕는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로 무언가 보이지 않는 힘에 이끌리는 듯한 상황을 마주할 때면 평소에 운명을 믿지 않는 사람이라도 운명적인 힘을 느끼기 마련이다. 그런데 왜 도스토옙스키는 라스꼴리니꼬프의 살인 과정에서 이러한 운명적인 우연의 힘을 등장시킨 것일까? 사람을 죽이는 끔찍한 범죄는 보이지 않는 악마의 손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암묵적인 메시지는 아니었을까? 그런 일은 인간의 이성만으로는 결코 저지를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
우연은 우연을 경험하는 당사자를 수동적으로 만드는 법이다. 운명의 힘은 사람의 이성을 마비시키고 보이지 않는 힘에 의지하게 만든다. 소냐와 리자베따 역시 사람의 이성을 초월하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라스꼴리니꼬프가 이끌린 비가시적 존재는 그 정반대에 위치한 존재였을 것이다. 선과 악으로 구분할 수 있는 영적인 차원의 존재 말이다. 여기서도 도스토옙스키의 기독교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죄와 벌이란?
재미있게도 라스꼴리니꼬프의 이성은 양심과 맞물려 잘 돌아갔던 것 같다. 스스로도 고백하듯 그는 미친 상태가 아니라 정신이 온전한 상태에서 살인을 저질렀다. 살인 후에도 그는 자신의 범죄를 숨기려는 마음과 자백하려는 마음 사이에서 갈등할 뿐 단 한 번도 정신줄을 온전히 놓은 적이 없었다. 그가 처음부터 끝까지 고뇌에 휩싸였다는 사실이 그 증거다.
실제로 이 작품의 커다란 중추는 살인 전과 후에 보이는 라스꼴리니꼬프 내면 변화의 추적이다. 시대와 문화를 초월하여 이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해서 읽히는 이유 역시 바로 여기서 찾아야 할 것이다. 즉 라스꼴리니꼬프 내면의 변화로부터 우리는 우리 자신 내면의 변화와 보편적인 인간 내면의 변화를 보는 것이다.
이제 이 작품에서 도스토옙스키가 말하는 죄와 벌이 무엇일지 말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단지 두 사람을 죽인 행위만을 죄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인간을 모든 것이 허용되는 존재라고 여기는 것, 다시 말해 유한한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는 것, 즉 하느님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 죄이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면 라스꼴리니꼬프의 살인은 죄라기보다는 죄인의 가시적인 범죄 행위로 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죄를 저지른 라스꼴리니꼬프가 소냐를 통한 갱생에 이르기 전까지의 삶 전체를 벌로 봐야 할 것이다. 고뇌에 찬 고립되고 단절된 삶 말이다.
이런 해석에 기댈 때 나는 라스꼴리니꼬프에게 인간이라는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라스꼴리니꼬프는 바로 나 자신이고 우리 모두로 확장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라스꼴리니꼬프처럼 가시적인 살인을 저지르지 않아도 우리 모두는 죄인일 수 있는 것이다.
‘죄와 벌’을 재독 하면서 도스토옙스키의 기독교 사상이 더욱 짙게 느껴졌다. 매춘부를 통해 구원에 이르고 마는 살인자의 이야기. 잘못된 선을 넘어선 자가 영점을 재조정하는 이야기. 거룩한 생명의 빛은 바닥 같은 인생을 사는 두 사람을 통해서도 아름답게 빛나는 것이다. 어쩌면 바닥이라서 더 아름답게 빛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 도스토옙스키 다시 읽기
1. 가난한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690
2. 분신: https://rtmodel.tistory.com/1696
3. 스쩨빤치꼬보 마을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739
4. 상처받은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744
5. 죽음의 집의 기록: https://rtmodel.tistory.com/1761
6. 지하로부터의 수기: https://rtmodel.tistory.com/1776
7. 죄와 벌: https://rtmodel.tistory.com/1807
* 도스토옙스키 처음 읽기
1. 죄와 벌: https://rtmodel.tistory.com/811
2. 백치: https://rtmodel.tistory.com/815
3. 악령: https://rtmodel.tistory.com/879
4. 미성년: https://rtmodel.tistory.com/928
5.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https://rtmodel.tistory.com/1068
6. 죽음의 집의 기록: https://rtmodel.tistory.com/1087
7. 가난한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153
8. 분신: https://rtmodel.tistory.com/1159
9. 지하로부터의 수기: https://rtmodel.tistory.com/1171
10. 노름꾼: https://rtmodel.tistory.com/1174
11. 도스토옙스키 (by 에두아르트 투르나이젠): https://rtmodel.tistory.com/1077
12.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177
13.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by 이병훈): https://rtmodel.tistory.com/1194
14. 매핑 도스토옙스키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358
15. 도스토옙스키의 명장면 200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362
16. 난데없이 도스토옙스키 (by 도제희): https://rtmodel.tistory.com/1388
17. 스쩨빤치꼬보 마을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396
18. 상처받은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429
19. 악몽 같은 이야기: https://rtmodel.tistory.com/1435
20. 악어: https://rtmodel.tistory.com/1436
21. 인간 만세!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488
22. 도스토옙스키를 쓰다 (by 슈테판 츠바이크): https://rtmodel.tistory.com/1625
23.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by 조주관): https://rtmodel.tistory.com/1644
24. 백야: https://rtmodel.tistory.com/1659
25. 뽈준꼬프: https://rtmodel.tistory.com/1702
26. 정직한 도둑: https://rtmodel.tistory.com/1703
27. 크리스마스 트리와 결혼식: https://rtmodel.tistory.com/1704
28. 꼬마 영웅: https://rtmodel.tistory.com/1706
29. 약한 마음: https://rtmodel.tistory.com/1707
30. 남의 아내와 침대 밑 남편: https://rtmodel.tistory.com/1711
31. 농부 마레이: https://rtmodel.tistory.com/1717
32. 보보끄: https://rtmodel.tistory.com/1719
33. 백 살의 노파: https://rtmodel.tistory.com/1721
34. 우스운 사람의 꿈: https://rtmodel.tistory.com/1722
35. 온순한 여자: https://rtmodel.tistory.com/1723
36. 예수의 크리스마스 트리에 초대된 아이: https://rtmodel.tistory.com/1724
#열린책들
#김영웅의책과일상
'김영웅의책과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저, ‘영원한 남편‘을 읽고 (0) | 2024.07.25 |
---|---|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저, ‘노름꾼‘을 다시 읽고 (0) | 2024.07.16 |
슈테판 츠바이크 저, ‘체스 이야기’를 읽고 (0) | 2024.05.17 |
이화정 저, '엄마의 일기가 하늘에 닿으면'을 읽고 (1) | 2024.05.16 |
폴 오스터 저, '뉴욕 3부작' 중 '잠겨 있는 방'을 읽고 (0) | 2024.05.13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