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또 다른 많은 펠리시아를 생각하며.
윌리엄 트레버 저, ‘펠리시아의 여정’을 읽고.
아일랜드 출신 소녀 펠리시아는 어느 날 그녀에게 성큼 다가온 한 남자 조니 라이서트와 사랑에 빠진다. 스스로도 볼품없는 외모를 가졌다고 여기던 그녀였기에 펠리시아의 눈은 자신에게 다가온 남자의 천박함을 꿰뚫어 볼 만큼 밝지 못했다. 조니는 그저 펠리시아를 갖고 논 건달에 불과했던 것이다. 그 짧은 만남이 한 여름밤의 불장난으로 끝났다면 괜찮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렇지 못했다. 그것은 흔적을 남겼다. 펠리시아의 몸에 누구도 원하지 않는 생명의 씨앗을 남기고 말았다.
어린 펠리시아에겐 감당하지 못할 두려움이었을 것이다. 어쩌다 이렇게 됐는지, 앞으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대로 판단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펠리시아는 할머니의 돈을 훔쳐 가족 몰래 영국으로 떠나기로 결심한 뒤 대범하게도 행동에 옮겨버린다. 목적은 단 하나였다. 조니를 찾기 위해서였다. 아이 아빠를 찾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그것은 진실한 사랑이라 믿었던 불장난을 현실에서 연장하고 싶었던 한 순진한 소녀의 몽상에 불과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어쩌면 펠리시아는 조니가 아닌 어떤 다른 남자가 다가왔어도 똑같은 결과에 이르렀을지도 모른다. 세상사를 전혀 몰랐던 펠리시아는 쳇바퀴 도는 지긋지긋하고 궁핍하고 수렁과도 같았던 삶에서 벗어나고 싶었다. 특히나, 한 세계를 탈출하고 싶은 마음으로 가득 차 있을 땐 진실의 옷을 입은 거짓을 잘 분별해내지 못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펠리시아에게 있어 조니는 그저 때마침 열린 하나의 문이었을지도 모른다. 펠리시아는 그걸 운명이라 믿어 의심치 않고 온몸을 던졌지만 말이다.
이렇게 시작된 펠리시아의 여정은 낯선 영국 땅에서 실패로 끝나고 만다. 시작부터 비극이었는데 끝까지 비극으로 끝나게 된다. 펠리시아는 조니를 끝내 찾지 못한다. 대신, 운명의 장난인 걸까. 펠리시아에게 친절을 베풀며 다가온 한 낯선 남자와의 인연이 시작되는데, 그는 불행히도 연쇄 살인범이었다. 너무나도 평범하게 보이는 영국 남자 힐디치. 그는 이미 과거에 여러 여자를 유인해서 들키지 않고 살인한 경험이 있었다. 펠리시아는 그에게 굴러들어 온 다음 타깃이었던 것이다. 물론 결말에 가서 힐디치는 펠리시아를 죽이지는 못한 채 자살을 택하고 말지만 말이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 뒤끝이 개운하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소설의 99퍼센트가 끝이 날 즈음에야 저자가 말하려던 메시지가 수면 위로 드러나서 맥이 빠진다는 기분도 들었다. 중요한 것에 비중이 제대로 실리지 않았다는 느낌이랄까. 비중의 불균형이랄까. 작품 뒤에 달린 해설에도 그렇게 쓰여 있다. 이 작품은 선함에 관한 이야기라고. 그 선함은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 노숙자와 같은 약자와 소수자들 사이에서 더 잘 드러날 수 있다고. 그러나 힐디치 역시 아주 평범한 사람 중 하나로 설정해놓은 건 평범한 사람들 중에도 선함뿐만이 아닌 악함도 공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저자가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닌가 한다. 그러므로 이 작품은 선함에 관한 이야기만이 아닌 악함에 관한 이야기로도 읽힐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여느 작품에서와는 달리, 어떤 특별한 계층의 이야기가 아닌 아주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선과 악의 이야기가 일상에 녹아든 작품인 것이다.
처음 읽는 윌리엄 트레버. 필체가 예사롭지 않다.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간접적인 표현을 주로 사용하며 독자로 하여금 충분히 눈치챌 수 있게 만드는 묘한 힘을 아주 잘 구사한다. 우아하다는 표현이 가장 적절해 보인다. 다분히 비현실적인 이야기 소재로 3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을 지루함 없이 진행시키는 필력 또한 탁월하다고밖에 말할 수 없다. 작품 마지막에 가서 노숙자의 삶을 받아들이고 그 삶에 임한 평안함에 익숙해지는 펠리시아의 모습에서 나는 결연함과 동시에 안쓰러움을 느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녀가 살해당하지 않은 것보다 나는 그녀가 스스로 삶을 마감하지 않아서 다행이란 생각을 한다. 그리고 또 다른 많은 펠리시아, 지금 내가 사는 곳에서도 존재할 펠리시아를 생각하며 나는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묻는다.
#문학동네
#김영웅의책과일상
'김영웅의책과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하 저, ‘살인자의 기억법’을 읽고 (0) | 2021.08.03 |
---|---|
정유정 저, ‘종의 기원’을 읽고 (0) | 2021.08.02 |
가즈오 이시구로 저, ‘클라라와 태양’을 읽고 (0) | 2021.07.19 |
오가와 요코 저, ‘임신 캘린더’를 읽고 (0) | 2021.07.13 |
장강명 저, ‘책 한번 써봅시다’를 읽고 (0) | 2021.07.11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