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도스토옙스키에게 뻬쩨르부르그란?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저, ‘뻬쩨르부르그 연대기‘를 읽고
한국어로 번역된 도스토옙스키 작품을 거의 다 섭렵한 이 시기에 ‘뻬쩨르부르그 연대기’를 읽게 되어 다행이라 생각한다. 그렇지 않았다면 뻬쩨르부르그가 도스토옙스키에게 어떤 의미인지 이 작품을 읽고도 풍성하게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성 베드로의 도시'라는 뜻의 상트 페테르부르크 (열린책들에서는 '뻬쩨르부르그'로 표기한다)는 도스토옙스키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공간적 배경이 된다. 도스토옙스키가 살았던 1821-1881년 당시 뻬쩨르부르그는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고 소련이 들어서며, 1918년 수도가 200년 만에 다시 모스크바로 복귀하면서 뻬쩨르부르그는 제2의 도시로 밀려났다. 1924년 레닌의 사망을 기점으로 이름도 레닌그라드로 바뀌었다고 한다. 뻬쩨르부르그는 역사적으로 우여곡절이 많았던 도시였다.
도스토옙스키가 보고 듣고 느끼고 숨 쉬며 살았던 뻬쩨르부르그는 그 당시 러시아에서 가장 문명화된 도시였다. 러시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며 서구 유럽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았던 곳이기도 했다. 프랑스어를 남발하는 서구주의자들이 슬라브주의자였던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속에 빈번하게 등장했던 이유도 이러한 공간적 배경이 한몫을 했으리라 짐작해 본다. 그뿐만이 아닐 것이다. 소년 시절, 시베리아 유형 시절, 그리고 유럽에서 보낸 수년간을 제외하고 뻬쩨르부르그는 언제나 도스토옙스키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뻬쩨르부르그가 그의 모든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는 해석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뻬쩨르부르그 연대기'는 도스토옙스키 작품 세계의 바탕, 즉 그의 사상, 그가 창조한 등장인물의 캐릭터, 그리고 작품 저변에 깔린 다소 음울한 분위기의 근원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가 되는 중요한 작품으로 보인다. 소설이 아닌, 다시 말해 허구적 장치 없이 도스토옙스키의 실제 목소리가 가감 없이 전면에 부각되어 있어 문장은 더 크고 깊게 울린다. 이 짧은 연대기는 네 차례에 걸쳐 날짜가 적힌 산문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기에 하나씩 짚어 보려 한다.
4월 27일
도스토옙스키는 뻬쩨르부르그 사람 하면, 잠옷에다가 침실용 모자를 쓰고 꼭 닫힌 방 안에서 두 시간마다 무슨 약인가를 한 스푼씩 떠서 먹는 모습을 머리에 떠올리곤 했다고 쓴다. 어찌 이런 상상과 표현을 할 수 있는지 나는 이 문장을 읽고는 "역시 도스토옙스키답다!"라고 조용히 혼잣말을 했다. 밝고 건강한 이미지가 아닌 뭔가 어둡고 어딘가 아픈 이미지가 떠올랐는데, 내가 수백 시간을 들여 읽어왔던 도스토옙스키 작품들의 이미지와도 묘하게 겹쳐졌다. 도스토옙스키도 직접 뻬쩨르부르그를 '흐리고, 음산하고, 화가 난 듯하고, 사악해진 듯하며, 축축하고, 습기가 많고, 창백하며, '살아 움직이는'과 반대되고, 하품을 하며 지루한 도시'라고 표현한다. 그러면서도 뻬쩨르부르그 사람들은 모두 정열적으로 조국을 사랑하고 무슨 일이 생기면 함께 즐기기를 좋아한다고 쓴다. 뻬쩨르부르그나 그 도시 사람들은 뭔가 범상치 않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뜬금없이 '선한 마음' 외에는 아무것도 가진 게 없는, 역겨운 성격을 가진 신사를 묘사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도스토옙스키가 작품 속에서 등장시켰던 여러 인물들이 저절로 떠올랐다. 대표적으로 '약한 마음'의 바샤 숨꼬프를 들 수 있다. 그 작품을 읽었을 당시 나는 약한 마음이 어떻게 악한 마음으로 변질될 수 있는지를 고찰했었다. 그런데 도스토옙스키도 바로 이 연대기에서 그 점을 정확히 꼬집는 것이다. 나로서는 섬뜩할 정도로 놀라운 경험이었다. 그가 쓴 문장은 다음과 같다.
"어째선지 지금은 갑자기 가장 선한 사람, 정말 악한 행동과는 아주 거리가 먼 그런 착한 사람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가장 악한 사람이 되어 버린다. 무엇보다도 안타까운 것은, 그 누구도 이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고, 그렇기에 그 누구도 그에게 얘기해 줄 수 없어서 그는 그렇게 오랫동안 아무 일없이 살아가다가…(후략)"
도스토옙스키가 말하는 선한 마음, 혹은 착한 마음, 혹은 약한 마음은 본래의 순수하고 긍정적인 뉘앙스를 거세하고 해석해야 하는 듯하다. 다음의 문장을 보면 이는 더 확실해진다.
"그 (앞에 언급한 선한 마음만을 가진 신사를 지칭한다)가 사랑하는 여인은 그의 사랑으로 인해 갈수록 초췌해져 가고, 결국에 가서는 그와 함께 있는 것이 끔찍하고 거북스럽게 느껴지게 된다. 순수했던 그의 사랑하는 마음이 결국 그녀의 존재 자체를 독살시킨 것이다."
도스토옙스키 작품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인물들의 심리에서 느껴지던, 뭔가 정신분열적이고 좀처럼 이해하기가 쉽지 않던, 그러나 말로는 정확히 표현할 수 없었던 그 느낌이 도스토옙스키가 가졌던 뻬쩨르부르그에 대한 인상으로부터 기인했다고 생각하니 한층 더 도스토옙스키를 이해한 것만 같은 기분이다. 그 당시 뻬제르부르그를 체험해 보지 못했다는 게 아쉬울 뿐이다.
5월 11일
작가답게 도스토옙스키는 스토리텔러 혹은 창작가가 자본가보다 더 낫다고 당당히 말한다. 이 문장 역시 뻬쩨르부르그가 어떤 도시인지 감을 잡아야 공감할 수 있는 듯하다. 또한 그가 창조한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온순함이랄까 순진함이랄까 하는, 때론 광대로도 표현되고, 때론 몽상가로도 표현되는, 딱히 어떤 한 단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그 어느 작가의 작품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가히 도스토옙스키적이라고 할 수 있는, 캐릭터의 근원이 바로 여기에서 기인하지 않나 싶다. 다음 문장을 읽어 보자.
"어떤 새로운 이야기를 알고 있는 것이 자본을 소유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낫다는 건 말할 여지도 없다. 뻬쩨르부르그 사람은 서둘러서 자신이 알고 있는 희귀한 소식을 얘기하려 할 때면, 입을 열기도 전에 정신적으로 달콤한 열정 같은 그 무엇을 느끼게 된다. 그의 목소리는 약해지면서 만족감에 떨린다. 그의 심장은 마치 장밋빛 버터 속에서 헤엄치는 듯하다. 평소 지병조차 말끔히 치유되거나 혹은 이 순간만큼은 자기의 적들에게조차 관대해진다. 그는 아주 온순해지고 위대해진다. 어째서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 그런 장엄한 순간 뻬쩨르부르그 사람은 모든 장점과 소중함을 인식하고, 스스로에게 공평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연신 하품을 하며 지루해하는 사람들이 가득한 뻬쩨르부르그를 떠올려 본다. 그 지루한 일상에 구원의 손길은 아무래도 돈이 아닌 이야기여야 할 것 같은 강한 생각이 드는데, 도스토옙스키는 바로 이런 점에서 이야기꾼을 자처하고 시대적 사명을 띠고 글을 쓰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도 하게 된다. 조금은 과장된 듯하고 익살스럽기도 한 문장을 다음과 같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뻬쩨르부르그에서 하품은 감기나 치질, 열병과 같은 병으로, 지금까지도 아무런 치료 방법, 예를 들어 뻬쩨르부르그의 그 어떤 유명한 치료 방법으로도 치유되지 않고 있다. 뻬쩨르부르그는 하품을 하면서 일어나고 하품을 하면서 일을 하고, 하품을 하면서 잠자리에 든다. 이 도시에서 가장 많이 하품을 하는 곳은 가면 무도회장과 오페라 극장이다."
등장인물의 캐릭터로, 사건 사고의 공간적 배경으로, 그리고 그들의 사상으로 간접적으로 표현된 뻬쩨르부르그의 인상이 조금씩 더 와닿는다.
6월 1일
우리나라에서 초여름에 해당되는 6월의 첫날은 뻬제르부르그에서도 여름으로 막 넘어가는 시기인 듯하다. 이 연대기에서 도스토옙스키는 모스크바와 비교하여 뻬쩨르부르그의 특징을 이야기한다. 그는 뻬쩨르부르그를 다소 어둡게 표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역사적이고 사회전반적인 측면까지 고려하면서 러시아의 중심 도시라고 말하는데, 나는 이 부분에서 도스토옙스키가 뻬쩨르부르그를 사랑했음을 느낄 수 있었다.
"모스크바는 과거의 역사적인 그 무엇이 있는 곳인 반면, 뻬쩨르부르그는 어디를 가도 현재의 이 순간, 그리고 현재의 이상이 보이고 들리고 느껴진다. 어떤 면에서 이곳에는 모든 것이 카오스인데, 모든 것이 뒤섞여 있는지도 모른다. 많은 것이 캐리커쳐의 소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것이 삶이요, 움직임이다. 뻬쩨르부르그는 러시아의 머리요, 심장이다."
"도시의 미래는 아직도 이데아 속에 있다. 이데아란 뾰뜨르 1세의 것으로써 국민 모두가 그의 정책의 힘과 진가를 확인했다. 공업, 무역, 과학, 문학, 교육, 사회, 체제 정비 등 모든 부문에서 뻬쩨르부르그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태생부터가 서구 유럽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인지 도스토옙스키는 러시아인의 민족성까지도 변질되지 않았나 고찰했던 것 같다. 그는 러시아인으로서의 자부심이 상당했던 것 같다. 그가 슬라브주의자라는 사실을 여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민족성이란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듯 유럽의 영향으로 쉽게 소멸되는 것이 아니다. 자신들이 살아가는 현재를 긍정적으로 사랑하는 민족이야말로 온전하고 건강한 민족이며, 바로 그런 민족이야말로 현재를 진실로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그런 민족이야말로 삶을 지속시킬 수 있으며, 생명력과 원칙 또한 그들과 영원히 함께할 것이다."
6월 15일
"날씨는 덥고 도시는 텅 비어 있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들의 별장에서 감흥에 젖어 자연을 만끽하고 있다."라고 쓴 걸 보면 6월 중순 뻬쩨르부르그는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 듯하다. 이 연대기에서 도스토옙스키는 독일인과 러시아인을 비교한다. 독일인은 꼼꼼히 분석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사람들인 반면, 러시아인은 순진 무구하고 때론 너무나 우스꽝스러운 형식도 흔쾌히 수용할 수 있는 성격의 사람들이라고 말이다. 그러면서 러시아인을 비난하는 듯한 뉘앙스로 글을 써나가는데, 러시안인 중 애정을 가지고 자기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 사람이 극소수일 거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결국 자신의 일을 발견하지 못하게 된다고 한다. 그는 이어서 다음과 같이 쓴다.
"그렇게 되면 활동을 갈망하고, 실천적인 삶을 갈망하고, 현실을 갈망하는, 그러나 약하고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그런 성격에서는 우리가 공상적이라고 부르는 것이 움트게 되고, 이런 사람은 결국 사람이 아닌 뭔가 중성적이고 이상한 주체, 즉 '몽상가'가 되어 버린다. 그런데, 여러분은 몽상가가 뭔지 아는가? 그것은 뻬쩨르부르그의 악몽이요, 구체화된 죄악으로서, 모든 끔찍한 비극과 모든 참사, 대단원, 그리고 발단과 결말을 가진 말 없고 비밀스러우며, 음산하고, 야만적인 비극인데, 이것은 절대로 농담이 아니다. 당신은 이따금 초점을 잃은 눈빛에 창백하고 피로가 누적된 표정의 주의가 산만한 사람, 항상 마치 무언가 끔찍하게 고통스럽고 뭔가 머리가 깨질 것 같은 일에 빠져 있으며, 이따금은 고통 속에 찌든 데다가 마치 힘든 노동으로 피로에 지쳐 있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그런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바로 이런 사람이 몽상가의 겉모습이다."
도스토옙스키 작품들에서 관념적인 인물들이 자주 등장한다는 건 그의 작품 두세 편만 읽어도 단번에 알 수 있는 사실이다. 끝도 없는 생각의 실타래를 통해 자기만의 세상에 갇히게 되는 인물들의 다른 이름은 몽상가일 것이다. 도스토옙스키는 이 연대기에서 몽상가들의 출현 배경 역시 뻬쩨르부르그가 낳은 산물이라고 해석하는 듯하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그는 이런 도발적인, 그러나 아니라고는 결코 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우리 모두가 정도의 차이는 있을 망정 몽상가는 아닐까?"
도스토옙스키에 따르면 뻬쩨르부르그에서 태양은 아주 드물게 찾아오는 손님이라고 한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건강을 쉽게 잃게 되고, 병약하고 불가사의하게 침울한 상태가 된다고 한다. 누구라도 그곳에 거주하게 되면 뻬쩨르부르그의 강력한 힘에 순응하여 몽상가가 되는 걸까? 뻬쩨르부르그라는 공간적이고 물리적인 특징이 도스토옙스키가 창조해 낸 많은 인물들의 캐릭터에게 숨을 불어넣은 게 아닌가 싶다. 다시 한번 나는 도스토옙스키가 살았던 당시의 뻬쩨르부르그를 보고 느끼고 싶다는 갈망을 느낀다. 그의 모든 작품을 다 읽는다 하더라도 결코 채워지지 않을 2% 일 것이다.
* 도스토옙스키 처음 읽기
1. 죄와 벌: https://rtmodel.tistory.com/811
2. 백치: https://rtmodel.tistory.com/815
3. 악령: https://rtmodel.tistory.com/879
4. 미성년: https://rtmodel.tistory.com/928
5.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https://rtmodel.tistory.com/1068
6. 죽음의 집의 기록: https://rtmodel.tistory.com/1087
7. 가난한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153
8. 분신: https://rtmodel.tistory.com/1159
9. 지하로부터의 수기: https://rtmodel.tistory.com/1171
10. 노름꾼: https://rtmodel.tistory.com/1174
11. 도스토옙스키 (by 에두아르트 투르나이젠): https://rtmodel.tistory.com/1077
12. 도스토예프스키, 돈을 위해 펜을 들다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177
13. 아름다움이 세상을 구원할 것이다 (by 이병훈): https://rtmodel.tistory.com/1194
14. 매핑 도스토옙스키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358
15. 도스토옙스키의 명장면 200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362
16. 난데없이 도스토옙스키 (by 도제희): https://rtmodel.tistory.com/1388
17. 스쩨빤치꼬보 마을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396
18. 상처받은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429
19. 악몽 같은 이야기: https://rtmodel.tistory.com/1435
20. 악어: https://rtmodel.tistory.com/1436
21. 인간 만세!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488
22. 도스토옙스키를 쓰다 (by 슈테판 츠바이크): https://rtmodel.tistory.com/1625
23. 도스토옙스키가 사랑한 그림들 (by 조주관): https://rtmodel.tistory.com/1644
24. 백야: https://rtmodel.tistory.com/1659
25. 뽈준꼬프: https://rtmodel.tistory.com/1702
26. 정직한 도둑: https://rtmodel.tistory.com/1703
27. 크리스마스 트리와 결혼식: https://rtmodel.tistory.com/1704
28. 꼬마 영웅: https://rtmodel.tistory.com/1706
29. 약한 마음: https://rtmodel.tistory.com/1707
30. 남의 아내와 침대 밑 남편: https://rtmodel.tistory.com/1711
31. 농부 마레이: https://rtmodel.tistory.com/1717
32. 보보끄: https://rtmodel.tistory.com/1719
33. 백 살의 노파: https://rtmodel.tistory.com/1721
34. 우스운 사람의 꿈: https://rtmodel.tistory.com/1722
35. 온순한 여자: https://rtmodel.tistory.com/1723
36. 예수의 크리스마스 트리에 초대된 아이: https://rtmodel.tistory.com/1724
37. 영원한 남편: https://rtmodel.tistory.com/1823
38. 아홉 통의 편지로 된 소설: https://rtmodel.tistory.com/1825
39. 쁘로하르친 씨: https://rtmodel.tistory.com/1827
40. 도스토옙스키의 철도, 칼, 그림 (by 석영중): https://rtmodel.tistory.com/1867
41. 여주인: https://rtmodel.tistory.com/1917
42. 뻬쩨르부르그 연대기: https://rtmodel.tistory.com/1930
43. 네또츠까 네즈바노바:
44. 아저씨의 꿈:
45. 자유 (by 석영중):
46. 도스토옙스키 깊이 읽기 (by 석영중):
47. 도스토옙스키와 함께한 나날들 (by 안나 도스토옙스카야):
48. 도스토옙스키와 톨스토이 (by 윤새라):
49. 도스토옙스키의 세계관 (by 니콜라스 A. 베르댜예프):
50. 죽음의 집에서 보다 (by 석영중, 손재은, 이선영, 김하은):
* 도스토옙스키 다시 읽기
1. 가난한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690
2. 분신: https://rtmodel.tistory.com/1696
3. 스쩨빤치꼬보 마을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739
4. 상처받은 사람들: https://rtmodel.tistory.com/1744
5. 죽음의 집의 기록: https://rtmodel.tistory.com/1761
6. 지하로부터의 수기: https://rtmodel.tistory.com/1776
7. 죄와 벌: https://rtmodel.tistory.com/1807
8. 노름꾼: https://rtmodel.tistory.com/1819
9. 백치: https://rtmodel.tistory.com/1849
10. 악령: https://rtmodel.tistory.com/1882
11. 미성년: https://rtmodel.tistory.com/1921
12.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13. 매핑 도스토옙스키 (by 석영중):
#열린책들
#김영웅의책과일상
'김영웅의책과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헤르만 헤세 저, ‘로스할데’를 다시 읽고 (2) | 2025.02.04 |
---|---|
슈테판 츠바이크 저,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를 읽고 (3) | 2025.02.03 |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저, ‘미성년‘을 다시 읽고 (1) | 2025.01.25 |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예프스키 저, ‘여주인‘을 읽고 (1) | 2025.01.10 |
옥명호 저, '아빠가 책을 읽어줄 때 생기는 일들'을 읽고 (1) | 2025.01.01 |
- Total
- Today
- Yesterday